재테크공부/공모주투자

[공모주 분석] 원준_공모가액, 일정, 회사분석 등

newme111 2021. 9. 23. 07:34
반응형

원준 공모주

 

결혼하고 맞은 첫 명절이라 정신없이 보내고 부랴부랴 바쁘게 공모주일정을 업데이트합니다.

추석이후에도 줄줄이 공모주가 사탕처럼 있는데요

일정이 겹겹이 있다보니 총알을 분산해서 참여해야겠습니다. :) 

1. 원준 공모개요 및 일정

- 청약일정 :

9월 27일 ~ 9월 28일


- 청약대금환불일 : 9월 30일 
- 상장예정일 : 10월 7일(미확정)
- 확정공모가 : 65,000원(밴드 52,000~60,000) 
- 청약가능 증권사 : nh투자증권 

- 수요예측 경쟁률 : 1464.10 대 1 

- 의무보유확약비율 : 약 44%

 

환불일을 유의해서 보아야 하는 이유가, 현재 9월 하반기에 공모주 청약일정이 몰려있기 때문입니다. 

2021.08.26 - [냐미의 투자_주식 및 부동산 등/(2) 주식투자(공모주&직접투자)] - [공모주 캘린더] 21년 9월공모주 청약일정(업데이트)

 

[공모주 캘린더] 21년 9월공모주 청약일정(업데이트)

매번 공모주 청약일정이 닥치거나, 뉴스를 통해서 청약일정을 접하고는 부랴부랴 청약당일 투자할까 말까 고민했던 주린이입니다. 이제는 투자 전에 조금은 여유를 갖고, 투자해보고 싶어서 8

namiandwooki.tistory.com

 

 

 

2. 원준 회사 및 사업 분석

'원준'은  첨단소재 생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열처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주요사업은 소성로 사업과 공정설비 엔지니어링 사업입니다. 

소성로사업은 현재 2차전지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생산을 위한 열처리 장비를 제공하는 사업이며,

공정설비 엔지니어링 사업은 2차전지소재의 공정을 설계, 시공, 시운전을 하는 공정설비 사업입니다.

 

원준이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고체 소재 , 탄소섬유 소재 생산을 위한 열처리 솔루션

 - 폐배터리 재활용 솔루션 사업 

 

한번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주요 매출 구조 

- 주요제품(열처리 장비)

첨단소재 생산을 위해서는 원료에 대한 열처리 공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열처리 장비의 성능에 따라 

첨단소재 생산의 품질과 생산량이 결정될 수 있는 매우 핵심적인 장치입니다. 

 

- 주요 매출구조 

확실히 열처리 장비 매출의 비중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원준의 열처리 소성로 장비는 주로 2차전지 양극재 생산 공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양극재 업체(포스코케미칼(003670)LG화학(051910)에코프로비엠(247540))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양극재 시장이 공격적으로 증설을 시작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열처리 소성로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열처리 소성로 장비 판매 대수는 2015년 14대에서 2018년 52대, 올해 96대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입니다.

 

 


2) 전망 및 경쟁력

 

아래의 표는 제가 그냥 임의로 간편하게 이해해보려고 만든 그림입니다.  

 

즉 원준은 미래 신산업인 전기차의 후방산업입니다.

(전방산업과 후방산업은가치사슬상에서 해당 산업의 앞뒤에 위치한 업종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자사를 기준으로 제품 소재나 원재료 공급 쪽에 가까운 업종을 후방산업, 최종 소비자와 가까운 업종을 전방산업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방산업/후방산업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원준이 속한 첨단소재 생산 솔루션 산업은 2차전지의 대표적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와 탄소섬유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첨단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열처리 솔루션과 관련된 산업입니다.

 

양극재, 음극재를 생산하는 업체들은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제적으로 장비 투자(Capex)를 하며 이들의 설비 증설은 동사가 속한 2차전지 소재 장비산업의 성장을 견인합니다.

즉, 원준이 속한 산업은 궁극적으로는 2차전지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의 전망, 더 나아가 수요의 최전방에 있는 전기차나 ESS 산업에 대한 전망이 당사가 속한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재와 음극재 소재는 현재 기술로는 타 소재로 대체가 불가능하고, 현재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에도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들 소재 구성 비중이 더 커지기 때문에 소재 생산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원준 공모주 관련 기대요소& 불안요소 

<기대요소>

 
- 유망한 사업 : 전기차 & 2차전지테마

요새 핫한 테마이긴 합니다.

사실 그간 공모주에서 따상이 되었던 섹터들이 대부분 바이오나, 신사업등 미래 먹거리와 관련된 사업분야가 많았었는데 원준의 사업섹터도 핫한 2차전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수요예측 기관경쟁률 준수

그간의 성적으로 보았을경우 기관의 높은 수요예측경쟁률이 꼭 따상을 담보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1464대 1의 나름 준수한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또한 수요예측 신청가격분포도 밴드상단이었던 6만원을 훌쩍 초과했습니다.


- 의무확약비율 괜춘 

의무보유확약비율을 보면 약 44%정도가 확약을 했습니다. 꽤 높은 수치입니다. 

최근에 현대중공업의 의무보유확약비율이 70%가 넘었음에도 상장당일 고전을 면치못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44%의 의무보유확약비율은 꽤나 매력적인 수치입니다 ㅎㅎ

 


- 환매청구권 존재

환매청구권이란 , 주가가 공모가  밑으로 내려갈 경우 증권사에서 공모가의 90%의 가격으로 다시 그 주식을 사주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그렇지 않기를 바라지만 원준의 공모가는 65,000원이고 만약 상장후 주가가 65,000이하로 떨어진다면

nh에서 65,000*90% = 58,500원을 주고 사준다는 의미입니다. 

 



<아쉬운점>


- 높은 공모가..

원래 원준의 공모가 밴드는 52,000원~60,000원이었습니다. 

그런데 공모가 확정가액은 65,000원이 되었는데요;; 최근 추세가 공모가 상단에 경쟁률이 많이 몰리더라도

밴드를 초과하는 확정가액은 오랜만에 보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 공모 직후 시가총액은 약 3253억원정도 될 예정입니다. 




- 상장당일 유통가능물량은 어느정도?

상장당일 유통가능물량이 좀 있긴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