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자가 되려면
"돈이 스스로 일하게 하라"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내 돈이 나대신 일을한다?
내가 먹고, 자고, 놀고 있어도 돈은 저대신 열심히 일을하여 돈을 벌어주는 것이지요.
저는 그 시간을 또 자본소득을 만든는데 할애하구요.
돈이 나대신 일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배당'입니다.
물론 국내주식의 경우 미국에 비해 주주환원률이 굉장히 낮습니다.
상속세율이 높음에 따라 대주주의 경우 주식가격이 높으면 세금을 기하급수적으로 많이 부담해야하기에
주식가격을 잘 관리하지도 않는 편이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사회가 조금씩 성숙되면서 주주환원을 신경쓰는 분위기가 생기고 있습니다.
2021년 결산이 끝난 뒤 상장사의 2/3이 전기대비 배당을 늘렸다고 하는데요,
누가누가 배당금을 많이주나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주식 배당금지급액기준 TOP10 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급기준일 최근결산시점이며, 중간배당을 합산)
1위. 효성티앤씨 50,000원 (배당수익률 10%)
1위는 효성티앤씨가 차지하였습니다.
효성티앤씨의 주가는 약 499,000원으로 배당수익률이 10%에 달합니다.
과거 3개년간 평균 배당금액은 2,667원으로 2021년도에 갑자기 배당금이 급증하였습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효성티앤씨 | 499,000원 | 1,000 | 2,000 | 5,000 |
특히 효성티앤씨의 경우 주당 배당금이 10배로 증가했는데요
효성그룹 내 단일 회사로서 유일하게 2021년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1조원을 냈습니다
지난해 매출은 66.5% 늘어난 8조5960억원,
영업이익은 434.1% 확대된 1조4237억원으로 실적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2위 고려아연 20,000원(배당수익률 3.51%)
고려아연은 예전부터 꾸준한 배당금액을 보여주는 회사이긴합니다.
최근 3개년도 평균적으로 13,000원을 배당하였는데요
전기보다 5,000원 증액된 것이며 배당성향(46.27% -> 46.67%)도 높아졌습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고려아연 | 570,000원 | 11,000 | 14,000 | 15,000 |
고려아연은 별도결산실적을 기준으로 배당성향을 30%이상 유지하는 정책을 밝힌바 있는데요
이번 결정도 약속된 배당정책을 상회하는 결정이었습니다.
3위 한국쉘석유 19,000원(배당수익률 7.45%)
한국쉘석유는 배당성향이 정말 높은데요 무려 85%에 달합니다.
수익으로 번 돈의 대부분을 배당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한국쉘석유는 세계적 석유 메이저 로열더치쉘의 국내 법인인 윤활유 회사로 특히 프리미엄급 윤활유 시장에서 강세를 보입니다. 한국쉘석유는 국내에서 번 수익 대부분을 배당을 통해 본사로 이전합니다.
그래서 배당성향이 높은듯 해요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한국쉘석유 | 255,000원 | 19,000 | 16,000 | 14,000 |
매출은 조금씩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은 여전히 12%-15%정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4위 포스코 17,000원(배당수익률 5.83%)
최근 이래저래 말이 나오고 있는 포스코이지만, 4위에 안착했습니다.
물론 그래도 주주들은 기분이 썩 좋지는 않을 것입니다.
포스코는 임시주총이 열리기 전 2022년 사업연도까지 이익의 30%를 배당하겠다고 공시하고
CEO까지나서서 주주서한에 배당성향을 30%까지 하겠다고 확언하였습니다.
그러나, 임시주주총회에서 물적분할을 통과시킨 이후에는 이 약속이 싹사라진 배당을 공시하였는데요
지난 1월28일 발표한 지난해 지배주주 순이익은 6조6170억원이며 전년대비 4.1배 증가한 사상최대입니다.
30% 기준 주당 배당금은 2만6200원이 되어야 하지만, 실제 지급액은 1만7000원입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포스코 | 291,500원 | 10,000 | 10,000 | 10,000 |
5위 LG생활건강우선주 12,050원(배당수익률 2.32%) / LG화학우12,050원(배당수익률 4.52%)
5위는 LG생활건강우선주와 LG화학우선주가 차지하였습니다.
LG생활건강우선주의 경우 배당금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당금액이 상당히 안정적인 편입니다.
이번배당은 17년 연속 호실적을 달성하면서 주주환원 정책 강화을 강화하하기위한 일환으로 배당금을 올렸습니다.
LG 생건은 별도당기순이익’ 기준 약 30% 수준의 배당성향을 기본 정책으로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LG화학우선주는 매우 변동이 심합니다.
전년 대비 매출은 41.9%, 영업이익은 178.4% 각각 증가했어서 그런지 작년대비 배당액을 주당 20% 증가시켰습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LG생활건강우선주 | 520,000원 | 9,300 | 11,050 | 11,050 |
LG화학우 | 266,500원 | 6,050 | 2,050 | 10,050 |
6위 삼성화재우 12,005원(배당수익률 7.67%)
삼성화재우선주의 경우 현재가격은 156,500원입니다.
NH투자증권에서는 “2023년 IFRS17 도입시 적극적인 주주 환원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높은 상황에서 이처럼 일관성 없는 배당 정책으로 인해 주주환원에 대한 의지 자체를 의심받는 모습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었습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삼성화재우선주 | 156,500원 | 11,505 | 8,505 | 8,805 |
7위. 삼성화재(배당수익률 6.33 %)/ LG생활건강(배당수익률 1.26%)/ LG화학(배당수익률 2.24%) 12,000원
설명은 위에~ 있으므로 패스합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삼성화재 | 189,500 | 11,500 | 8,500 | 8,800 |
LG생활건강 | 950,000 | 9,250 | 11,000 | 11,000 |
LG화학 | 535,000 | 6,000 | 2,000 | 10,000 |
8위 영풍(배당수익률 1.47%) 롯데푸드(배당수익률 3.13%) 효성첨단소재(배당수익률 1.98%) 10,000원
영풍의 경우 지난해 연간 연결기준 잠정 영업이익은 -267억8101만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영업이익은 (-)여도 당기순이익은 있으니까?)
영풍은 꾸준히 1만원씩 지급하고 있네요
롯데푸드는 롯데그룹 식품 3사 중 유일하게 배당금이 전년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롯데푸드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원가 부담으로 줄었으며 특히, 배당재원의 원천인 당기순이익이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 부과 예상액 반영으로 급감한 상태입니다.
효성첨단소재의 경우 3년간 배당을 하지 않다가? 이번에 처음 지급한듯합니다.
아마도 2021년도부터 실적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아래의 표에서 보든 2020년도 및 2019년도 실적은 거의 (-)이네요.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영풍 | 680,000 | 10,000 | 10,000 | 10,000 |
롯데푸드 | 319,000 | 15,000 | 12,000 | 12,000 |
효성첨단소재 | 505,000 | - | - | - |
9위 광주신세계 (배당수익률 4.5%) 8,500원
광주신세계는 지난해 10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배당정책으로 환원 재원을 1차년도 당기순이익의 20% 이상으로 정하고 향후 3년간 점진적 확대하는 내용을 이사회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실제로 광주신세계는 지난 2월 예상보다 높은 당기순이익의 26%를 환원 재원으로 마련했으며
이로 인한 광주신세계의 현금배당은 주당 8,500원으로 전년대비 143%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19상황에서도 호실적을 이어왔기 때문입니다.
매출이 전년대비 15.2% 상승한 1,700억을 달성는데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역시 606억원, 524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25.5%, 21.3% 상승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광주신세계 | 189,000 | 3,000 | 3,500 | 3,500 |
10위 롯데케미칼(배당수익률 4.11%) 8,300원
롯데케미칼의 영업이익은 2020년 3569억원에서 2021년 1조 5358억원으로 330% 늘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에 따라 포장재, 의료방역용품 사용확대 및 전기자동차 등 전방산업의 수요와 제품스프레드 개선에 따른 증가라고 하는데요
이와 같은 실적상승을 기반으로 1주당 배당금도 작년 3,600원에서 2021년 8300원으로 130% 늘렸습니다.
배당성향또한 9.6%에서 20.8%로 1년 새 11.2% 상승하였습니다.
종목명 | 현재가격 | 2018년 | 2019년 | 2020년 |
롯데케미칼 | 202,000 | 10,500 | 6,700 | 3,600 |
'재테크공부 > 배당금 받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마이크로소프트 배당 (1) | 2022.03.12 |
---|---|
[국내주식] 동서_배당금 수령 (0) | 2022.03.08 |
(국내주식) 맥쿼리 인프라, 반기배당(분배금) 입금&소액부징수 (0) | 2022.03.07 |
스타벅스(SBUX) 2월 배당금 수령(배당수익률 계산) (0) | 2022.02.28 |
미국주식 월 배당주, 리얼티 인컴 배당 입금(배당수익률 계산) (1) | 202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