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공부/공모주투자

비씨엔씨 공모주 기업분석/수요예측/시가총액 등

newme111 2022. 2. 21. 22:51
반응형

2022.02.20 - [투자/공모주투자] - 공모주 청약일정(2022년 2월 21일~28일)

 

공모주 청약일정(2022년 2월 21일~28일)

다음주 공모주 청약일정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나는 청약캘린더는 NH투자증권을 이용하는 편이다.  NH투자증권사가 주관사등이 아니더라도 일정이 잘 공시되어있다 ^^ (다른곳은 누락된것도

namiandwooki.tistory.com

어제 2월 마지막주 공모주 청약일정을 포스팅하면서, 비씨엔씨가 제일 공모주 투자로 적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씨엔씨의 투자설명서를 보면서, 왜 내가 비씨엔씨 공모에 참여할지를 기록을 해보기로 하였다. 

비씨엔씨공모주

 

비씨엔씨 공모개요 

- 공모일정 : 2022-02-21(월)~22(화)

- 확정공모가 : 13,000원 (공모가 밴드: 9,000~11,500)

- 상장예정일 : 2022-03-03

- 대표주관사 : NH투자증권(단독) 

 

조건1) 수요예측시 흥행하였는가? [투자설명서 발췌]  YES

비씨엔씨의 수요예측은 흥행한 편입니다. 

- 참여기관 수 : 1649개

- 경쟁률 : 1831.23 대 1(기사에서는 1820대 1이라고 나오는데 ;; 어디서 나온지 모르겠습니다.) 

지난(2021년) 을 기준으로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경쟁률은 1193대 1이었습니다. (기사 및 금감원자료 발췌) 

1831대 1은 이를 훨씬 상회하는 경쟁률인 셈입니다. 

 

물론 앞서 기관투자수요예측에 흥행한 풍원정밀(1556대1) , 퓨런티어(1500대1)을 뛰어넘어

올해 코스닥 IPO 중 가장 높은 경쟁률입니다. 

 

심지어 수요예측 시 신청한 가격도 대부분이 밴드상관을 초과하여, 질적으로도 경쟁률이 좋은 편이라고 보여집니다.

 

조건2) 의무보유확약 상태는 어떠한가? SOSO ~ BAD

의무보유확약비율은 그다지 높은편은 아닙니다. 약 22.8% 입니다. 

작년도 기관투자자의 코스닥의 보유기간별 확약비중을 보면 약 32%인데 그 것보다는 낮은 수치입니다. 

 

금융감독원/조세일보

최근에 의무보유확약기관이 0개가 나왔던 스톤브릿지에 비하면 나은편인가요? 

 

조건3) 소재가 좋은가? YES_반도체 

비씨엔씨의 주력 사업분야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소모성 부품 중 합성쿼츠, 천연쿼츠, 실리콘, 세라믹 등의 소재를 기반으로하는 부품의 제조와 부품 소재의 개발입니다. 

 

비씨엔씨의 전방시장은 '반도체시장'이며, 비씨엔씨의 제품은 소모성부품으로 반도체 시장이 성장할수록 판매량이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즉 반도체산업의 경기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셈이다. 

 

기관에서도 차세대 반도체의 발전에 따라 합성쿼츠의 수요가 더욱 높아질것으로 예상해서인지 비씨엔씨에 대한 전망을 높게 사는 것 같았다. 

반도체쪽은 내가 전문가가 아니다보니, 모르는 내용이 정말 많은듯 하다 

대신 김돈한 대표의 인터뷰를 좀 발췌했다. 

 

대표의 인터뷰에 따르면 

 "차세대 반도체는 AI, 메타버스, 전기차 등 많은 데이터량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처리 용량이 더 크고 전력 소모량은 더 적은 반도체를 찾다보니 탑티어 업체들도 점점 소형화된 칩에 집중 투자할 수 밖에 없다"며 "거기다 선폭이 좁아지고 플라즈마 파워가 강해지포커스링 수명은 더 단축돼 수요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본다. 현재 전세계 포커스링 중 합성쿼츠가 30% 비중이라면 천연쿼츠를 대체하는 수준이 곧 50%, 70%까지 계속 늘어날 것"

 

 

조건4) 재무상황은 괜찮은 편인가? YES

[연결기준] 

연결기준으로 꾸준히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21년도의 경우는 1-3Q매출임에도 20년도의 매출과 비슷함

반도체고객제조사로부터의  QD9 부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 기인.

 

또한 영업이익도 (+)인데 2019년도의 경우는 판관비로 인해 영업이익이 급감한 듯?

(2019년 IFRS 전환에 따른 사용권자산 감가상각비 증가, 지급수수료의 증가)

 

동업종평균에 비해서는 부채비율이 높은편인데 2018년도부터 장단기 차입금을 조달함에 따름 

(2019년 40억원의 사채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등) 또한 2019년말 에이티넘성장투자조합의 전환상환우선주 투자에 따라 IFRS 회계처리에 따른 전환상환우선주부채 및 전환권 관련 파생상품부채를 인식함에 따라 부채비율이 전기대비 120.9%p 상승하였습니다. 청구일 현재로 동 전환상환우선주는 모두 전환됨에 따라 향후 부채비율은 대폭 개선될 예정임.

 

영업활동현금흐름도 좋은편인듯? 

 

조건5) 대표이사의 주식보유비중이 높은가? YES

개인적으로 창업주의 주식비중이 높은 것을 선호한다.

내 회사이니까, 더욱더 열심히 운영하지 않을까하는 마음이 있고, 인터뷰나 김돈한대표이사가 걸어온 반도체길을 보면 

믿을 만한거 같기도 함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217001198

 

[상장人터뷰] 삼전·인텔 사로잡은 비씨엔씨..."합성쿼츠 국산화 성공"

[상장人터뷰] 삼전·인텔 사로잡은 비씨엔씨..."합성쿼츠 국산화 성공"

www.newspim.com

 

물론 조사기간이 더 있으면 좋았겠지만 

 

 

조건6) 상장후 시가총액을 경쟁사와 비교해보자 SOSO ~ BAD

비씨엔씨는 상장후 시가총액은 약 1607억원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국내1위 쿼츠회사는 원익QnC라고 합니다. 

이 회사와 한번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분석은 제한된정보로 인해, 다소 현실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원익의 4분기 예상매출액, 당기순이익등은 네이버의 예상치를 사용하였고, 비씨앤씨는 투자설명서에 기재된 연결 손익계산서의 매출을 1년치로 환산하여 진행하였습니다.) 

구  분 원익큐앤씨 비씨앤씨
매출액(예상) 6,176억원 624억원(연결 환산) 
당기순이익  586억원 56억원
시가총액 6,901억원  ???

사실 매출규모라던가, 당기순이익으로 보았을때 비씨앤씨는 원익큐앤씨의 10%정도의 수준이다. 

즉 상장을 한 후 적정해보이는 697억원정도인데... 지금 확정공모가로만 보아도 1607억원인다. 

 

만약? 시초가가 떠블이라면? 3200억원.?? 

 

그러나  QD9에 대한 기술력 및 향후  QD9의 수요가 높아질것으로 예상되어 충분히 잠재성은 있다고 판단된다. 

 

"세계 최초로 합성쿼츠(Synthetic Quartz)를 반도체 생산 공정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소재의 QD9 부품은 아직까지 양산에 적용되는 타 회사의 합성쿼츠 제품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어 향후에도 일정기간 동사에서 지속적으로 공급이 가능하고, 타 회사에서 양산 제품을 출시하더라도 세계 최초로 합성쿼츠(Synthetic Quartz)를 20nm 이하의 High Device 반도체 식각 공정에 적합하도록 개발 공급한 리딩 컴퍼니로서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판단"

 


결론.. 솔직히 어느정도 실적에 비해 과대평가되어있다고 생각은 되지만

성장성 + 수요예측 흥행에 따라서 가볍게 참여해보아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만약~ 따상한다면 1주에 20,800원정도를 받을 수 있겠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