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들을 위한 금융혜택제도들을 모아보았습니다.
잊지않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약 1080만원의 이득을 볼 수 있는 제도
매월 10만원씩 3년 저축하면 저축금액에 정부가 매월 30만원까지 추가로 지급해줍니다.
청년 저축액 (A)
|
정부지원금(B)
|
총 수령액(A+B)
|
10만원 * 12개월 * 3년 = 360만원
|
30만원* 12개월*3년= 1,080만원
|
1,440만원
|
아래의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기준 / 가구소득기준 / 재산기준 / 나이기준 만 19세~34세 청년 (2003년~1988년생)
다만 22년 7월부터 신청이 가능하기에 아직 구체적인 정책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청년장기펀드소득공제
청년이 장기펀드에 가입하는 경우 연 600만원 한도에서 납입액의 40%를 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
총 급여액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3,800만원 이하인 청년(2003년생~1988년생)
다만 2022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장기펀드에 가입하는 경우 적용
가입한 이후 3년 이내 해지, 양도 인출시 감면된 세액 가운데 납입금액의 6% 가량 추징
또한 가입기간 동안 총급여가 8천만원이상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6천만원 초과시 해당 과세기간에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절세효과
(예시) 총급여 5,000만원 , 연 600만원 납입시
(단, 근로소득금액은 37,750,000원 , 과세표준에 따른 한계세율은 15%로 가정)
-> 소득공제액 : 240만원 (600만원 *40%)
-> 최종 절세액 : 36만원
청년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에 2년간 근속한 경우 정부와 기업에서 약 900만원을 지원하는 제도
청년 저축액 (A)
|
정부지원금(B)
|
기업적립액(C)
|
총 수령액(A+B+C)
|
12.5만원 * 12개월 * 2년
= 300만원 |
600만원
|
300만원
|
1,200만원
|
(가입대상) 5인 이상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신규 취업한 청년
장병내일준비적금
군복무기간동안 약 1,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적금- 월 최대 40만원 한도 정기적금 상품- 은행이 연 5% 금리보장 + 정부가 1% 이자 지원 + 전역시 원리금 1/3을 정부가 추가지원
'돈덕후(가계) > 돈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딸기뷔페 최고가부터 최저가까지 총정리 (0) | 2023.01.08 |
---|---|
네이버웹툰쿠키 120원으로 인상! > 쿠키 100원으로 결제하는 방법 (0) | 2022.06.03 |
고유가시대 최고의 주유카드는?(2022년 유류비카드 비교 추천) (0) | 2022.04.20 |
내가 토스뱅크를 사용하는 이유(받고싶을때마다 이자 받기,2%) (0) | 2022.03.16 |
[적금비교] 청년희망적금_은행별 금리 비교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