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경리생활/원천세,연말정산,4대보험

[연말정산] 5화. 인적공제 부녀자공제 vs한부모공제 궁금한점 알아보자

newme111 2020. 10. 2. 00:00
반응형

2020/10/01 - [냐미의 직장이야기_세무 및 회계/세무업무 해석하기] - [연말정산] 4화. 인적공제-기본공제의 플러스알파_추가공제!

연말정산 업무를 하면서 인적공제관련하여 종종 문의들어왔던 내용이 바로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이에 대하여 조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의할 점은 부녀자공제는 한부모가족공제와 중복으로 공제받지 못하기 때문에 

한부모가족에 해당할 경우 공제금액이 더 큰 한부모가족공제를 적용받는 것이 좋습니다. 

(※ 참고사항:  한부모공제 : 100만원, 부녀자공제 :50만원 ) 

 

 

 

 

 

<한부모가족공제/ 공제한도 100만원> 

 

1. 한부모가족공제 적용대상(모두만족) 

①배우자가 없으며(이혼 or 사별) ②자녀가 있는 ③ 남자 또는 여자(성별조건 x)

 

※  소득과 관계없이 공제가 가능! 

 

2. 남편과 별거중이고 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경우 공제가 가능한가?

- 이혼한 경우 : 공제가능

- 이혼하지 않은 경우 : 공제불가능

 

※  가족관계증명서상 혼인관계로 되어있는 경우 '한부모'로 보지 않음. 

 

3. 배우자가 사망한 년도의 연말정산에서도 한부모공제가 가능한가?

- 불가능함. 사망한 다음년도부터 적용 가능

 

사망한 년도에도 배우자는 소득조건이 충족되었다면 기본공제대상자로 인정되기 때문에 

사망한년도 다음부터 적용됨

 

4. 한부모공제를 인정받기위한 서류는?

- 한부모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부녀자공제 / 공제한도 50만원> 

 

1. 부녀자공제 적용대상 (모두만족)

① 소득기준 : 근로소득금액이 3,000만원 이하인 근로자( 총급여액이 약 4,100만원 이하인 경우가 적용됨) 

② 배우자가 있는 근로자 또는 미혼이나 이혼으로 인해 배우자가 없으나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

③ 여성인 경우에만 적용됨

 

2. 배우자가 소득이 있는경우 부녀자공제 가능여부

- 가능함

※  배우자의 소득여부는 관계없음

 

3. 배우자공제와 부녀자공제가 중복으로 가능한가?

- 가능함

 

남편a(소득없음) , 아내b는 a에 대한 배우자공제를 받으면서 본인(아내b)에 대한 부녀자공제도 받을 수 있음

 

4. 미혼여성도 부녀자공제가 가능한가?

 -세대주인 미혼여성 : 부녀자공제 가능

 -세대주가 아닌 미혼여성 : 부녀자공제 불가능

 

※ 즉 주민등록상 세대주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공제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주민등록표상 단독세대주인 미혼여성도 기본공제대상자인 부모님이 주거형편상 별거하는 경우에는 공제 가능 

 

5. 부녀자공제를 받을 경우 근로장려금이나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 중족수령이 가능함

 


회사에서 연말정산 담당자는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부녀자공제나 한부모공제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때문에 자동으로 적용시켜주지 않습니다. 

위의 공제들을 적용받기위해서는 주민등록등본(또는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해야합니다. 

 

부녀자공제는 괜찮지만, 한부모공제의 경우 알리고싶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고의로 연말정산당시에 제출하지말고, 연말정산 신고가 마무리된 뒤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확정신고로 다시 신고하면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