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대출을 받으러 가기전 LTV나 DTI등 기본적인 용어를 알아보았습니다.
사실은 LTV규제로 인하여, 우리가 원하는 집을 매매하기에는 턱없이 낮은 대출금액이 나올 거라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지만 (일단 봐둔 곳도 없다는 점,,)
1. 그래도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내 집마련을 하려고 노력할것이고
2. 혹~시 그래도 우리에게 괜찮은 조건의 대출상품이 있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품고, 신혼부부 버프를 받은 대출상품이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습니다.
그전에 먼저 주택담보대출을 받기전 꼭 알아둘 기초상식이 있습니다..
참 사회에 나오니까 이제는 살기위한 공부를 해야하네요 ㅎㅎ
#1. 주담대란? (주택담보대출이란?)
주택담보대출 , 즉 주택을 담보로 하여 돈을 빌려주는 대출상품인데요
실제 이미 가지고 있는 주택뿐만 아니라, 구입예정인 주택에 대해서도 담보가 가능합니다.
담보물건인 주택을 통하여 대출금 회수가 가능하기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대출 신용대출 등에 비하여 금리가 저렴합니다.
금리는 금융기관에따라 천차만별입니다( ㄹㅇ)
#2. 금리 구분 (변동 VS 고정)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중 어떤것이 유리할까요?
변동금리 | 고정금리 | |
정의 | 시중금리와 연동하여, 대출금리가 일정한 기간을 두고 변동 |
대출받을 당시의 금리로 대출기간 내내 대출금리가 일정 |
장점 | 금리하락시에는 이자비용도 하락함 | 이자비용이 일정하여 지출계획 세우기 용이함 |
단점 | 금리상승시에는 이자비용이 상승함 이자비용이 항상 변동하기때문에 지출계획세우기가 어려울 수 있음 |
금리하락시에는 변동금리에 비하여 이자비용이 더 많이 발생함 |
일반적으로 금리상승기나 장기대출시에는 고정금리가 유리한반면
금리하락기나 단기대출시에는 변동금리가 더 유리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동일한시점에서 고정금리가 월등히 높습니다.
저도 대출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대출기간이 장기라 은행에서는 고정금리를 권했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변동금리로 선택했는데(경기가 안좋아서 금리상승여력이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나중가서는 이게 탁월한 선택이었습니다.
코픽스로 연동되어서 물론 잠시 금리가 높아졌을 때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정금리로 제시했던 금리보단 상승하지 않더라구요;;
사실 요새같은 시기에는 변동금리가 유리할것 같긴합니다.
#3. 대출상환방식
은행에서 주담대를 신청하면 금리선택외에도 상환방법과 거치여부를 선택해야 합니다.
어떤방식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매월 납부하는 금액이 달라지기때문에 잘 확인해야합니다.
주담대거치기간이란 이자만 납부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만약 대출기간 40년 5년 거치라고 한다면,( 이런 상품이 없을 것 같지만..)
5년간은 대출에대한 이자만 내고, 그 이후인 35년간 원금과 이자등을 갚아가는 것입니다.
거치여부를 결정하고나면, 대출상환방식을 정해야하는데,
아래와 같이 총 3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구 분 | 만기일시 상환방식 | 원금균등 분할상환 | 원리금균등 분할상환 |
상환방식 | 만기까지 이자만 지급하다가 만기일에 원금 전액과 마지막달에 이자를 상환하는 방식 |
매월납부하는 금액 중 대출원금을 동일하게 설정 |
첫달부터 원금과 이자를 분할해서 상환 |
추천하는 사람 | 당장 현금유동성은 없으나 향후에 목돈이 생길 사람 |
고정수입이 있는 직장인 | |
- | 초기에 원금을 많이 상환 매월 납부금할 금액이 다름 조기상환을 원하는 경우 추천 |
매달 원금은 점점많이 내고, 이자는 점점 줄어듦 매월 납부할 금액이 일정함 |
대출이자계산기를 통해 실제 총 대출이자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총대출이자금액은 만기일시상환 > 원리금균등 > 원금균등 입니다.
특히 저 예시에서는 만기일시상환의 경우 원금균등방식의 거의 2배나 되는 이자비용이 발생하네요 ㅎㄷㄷ
저는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원금균등방식을 선호합니다.
자 이런 기초상식을 알아보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주택담보대출상품등을 비교하러 가보기로 하겠습니다.
험난하군요 ㅠㅠㅠ
'재테크공부 > 부동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알못탈출] 부동산종합증명서 어떻게 읽지요? (0) | 2020.09.19 |
---|---|
[부알못탈출기] 부동산공부서류 무료로 열람하자! (0) | 2020.09.18 |
[부알못탈출] 부동산 '공부서류'가 뭐지? (0) | 2020.09.17 |
[부알못 탈출] DTI과 DSR은 무엇인가?( 7.10 대책 이후 우대내역 추가) (0) | 2020.09.14 |
[부알못 탈출] LTV란 무엇인가? 지역별 LTV정리 (0) | 2020.09.13 |